안녕하세요!
니어솔루션입니다.
오늘은 2025년 업데이트 된 사항을 반영하여, 니어솔루션의 NearDPC 솔루션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DPC는 Digital Picking Cart의 약자로, 니어솔루션은 NearDPC라는 피킹 카트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니어솔루션의 DPC 솔루션이 어떻게 특별한지 함께 살펴보시죠!
NearDPC 제안 범위
니어솔루션의 NearDPC는 입고부터 출고에 이르는 창고 프로세스 중 피킹, 포장 및 검수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안합니다.
NearDPS는 피킹 프로세스에서 피킹 및 검수 프로세스의 일원화를 통해 프로세스를 개선합니다.
NearDPC는 포장 및 검수 프로세스에서 포장 및 송장 부착 자동화를 통해 프로세스를 개선합니다.
NearDPC 기능 제공 범위
NearDPC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패턴 주문 추출 : 단순히 동일한 SKU를 포함한 주문들을 찾아 묶는 수준을 훨씬 뛰어넘어, ‘최적화된 작업 단위’를 사전에 구성합니다.
실시간 주문 할당 : 정적인 업무 배정 방식에서 벗어나, 시시각각 변하는 상황에 맞춰 즉각적으로 작업을 배분하는 동적 할당을 구현합니다. 이는 적절한 작업을, 적절한 자원(작업자 또는 로봇)에게, 가장 적절한 순간에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피킹 순서 최적화 : 하나의 작업(예: 여러 주문으로 구성된 배치)이 작업자에게 할당되면, ‘피킹 순서 최적화’ 기능은 해당 작업에 포함된 모든 상품을 집품하기 위해 작업자나 로봇이 이동해야 할 가장 효율적인 물리적 경로를 계산합니다. 전체 피킹 시간의 50% 이상이 이동에 소요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경로 최적화는 생산성 향상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
배치 병합 : 배치 병합은 여러 주문을 하나로 통합하는 작업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입니다. 효과적인 배치 병합은 총 이동 거리를 줄이는 가장 강력한 수단입니다. 또한, 더 적은 수의 작업자가 동일한 구역을 이동하게 되므로 창고 내 혼잡도를 자연스럽게 줄여줍니다.
NearDPC 차별화 포인트
NearDPC는 다음과 같은 차별화 포인트가 있습니다.
NearGo (DPC 태블릿 모드) :
박스 분할 및 추천과 실시간 재고 관리 기능을 지원하고 태블릿에서 DPC 피킹 정보를 표시함
NearGo (DPC + 표시기) :
DPC 태블릿 모드의 모든 기능을 포함하고 피킹카트에 표시기를 추가하여 직관적인 작업이 가능함
NearDPC 소프트웨어 경쟁력
NearDPC는 다음과 같은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지닙니다.
최신범용 기술 :
Java, NodeJS 등 요소기술 사용 (서버)
표준기술 기반 :
모든 OS/Device 지원 (Windows Family, Linux, Mac OS, iOS, Android)
개발 생산성 :
개발자들이 쉽게 익히고 사용할 수 있는 패턴화 된 UI 제공
Globalization, SaaS 대응 :
다국어 및 국가별 시간형식 / 도량형 / 화폐단위 기능 제공
고객맞춤 솔루션 :
고객의 요구를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므로, 고객의 특별한 가치를 시스템화 하는데 제약이 없음
지속적 지원과 업그레이드 :
점진적인 기능 향상 기법은 제품이 버전업 되어도 단절되지 않고 지속적인 업그레이드 서비스가 가능
쉽고 편한 사용자 환경 :
UI는 Web기반으로 쉽게 적응
NearDPC 시스템 구성
NearDPC 시스템의 전체적인 작업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WMS 또는 Excel에서 주문 정보가 들어옵니다.
② Edge PC(NearWES)가 이 주문을 받아 작업 가능한 형태로 가공합니다.
③ 가공된 데이터는 Message Middleware를 통해 안정적으로 하드웨어로 전달됩니다.
④ 작업자는 태블릿으로 주문을 확인하고, 인디케이터가 켜진 위치에 상품을 넣는 방식으로 쉽고 빠르게 합포장 및 분류 작업을 수행합니다. 작업이 완료되면 프린터로 송장을 출력하여 부착합니다.
이처럼 NearDPC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복잡한 합포장 분류 작업을 단순화하고 효율을 극대화하는 스마트 물류 솔루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NearDPC Reference
NearDPC 도입효과
NearDPC와 같은 동적 실행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기술 자체를 넘어선 준비가 필요합니다.
데이터 준비 상태 (Data Readiness): 시스템의 판단은 데이터의 질에 좌우됩니다. SKU의 정확한 크기, 무게, 부피 데이터와 창고 내 모든 로케이션의 정밀한 좌표 데이터 등 깨끗하고 정확한 마스터 데이터의 확보는 시스템 도입의 가장 중요한 전제 조건입니다.
프로세스 재설계 (Process Re-engineering): NearDPC 도입은 단순히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경직되고 정적인 기존의 작업 방식에서 벗어나, 동적인 작업 할당을 전면적으로 수용하는 새로운 워크플로우를 설계하는 과정입니다.
💡
NearDPC 도입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입니다. 시스템으로부터 얻는 투자수익(ROI)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선 활동이 필수적이죠.
도입 후에는 시스템이 생성하는 성과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그로부터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최적화를 추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I 분석을 통해 실제 출고 빈도가 높은 상품들을 포장대 근처로 재배치(Re-slotting)하거나, 변화하는 주문 패턴에 맞춰 배치 병합 알고리즘을 조정하거나, 특정 작업자의 성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추가적인 교육 필요성을 파악하는 등의 활동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NearDPC는 최종적인 해결책이 아니라, 물류창고 내에 데이터 기반의 지속적인 개선 문화를 정착시키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도구를 어떻게 활용하여 끊임없이 학습하고 발전해 나가느냐가 미래 물류 경쟁의 승패를 가를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