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 물류센터 구축하기 2단계, 프로세스 설계

물류센터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체계적인 프로세스 설계의 중요성을 분석합니다. 
니어솔루션's avatar
Jul 21, 2025
자동화 물류센터 구축하기 2단계, 프로세스 설계

🔵

안녕하세요! 지난 게시글에서 물류의 기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한 걸음 더 나아가, 물류센터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프로세스 설계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단순히 최신 설비를 도입하는 것을 넘어,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세스 설계가 얼마나 중요한지 함께 알아보시죠.

ROI를 고려한 자동화 설비 도입

최근 무신사 로지스틱스 물류센터의 '합포장 로봇(3D sorter)' 도입 사례에서 보듯, 물류 자동화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자 필수적인 경쟁력 요소가 되었습니다. 이 합포장 로봇은 사람이 올려둔 상품을 스캔하여 주소지 기준으로 자동으로 분류해주는 시스템으로, 시간당 처리 물량을 10배 가까이 늘리는 등 획기적인 효율 개선을 가져왔습니다.

하지만 무작정 최첨단 설비를 도입하는 것이 능사는 아닙니다. 막대한 설비 투자 비용은 반드시 그만큼의 효율성 증대와 비용 절감으로 이어져야 하기에,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ROI(투자수익률)를 유의하는 것입니다.

센터를 새롭게 구축하거나 기존 센터를 확장, 이전하는 경우 자동화 설비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운영 효율성과 인건비 절감, 정확성 향상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함입니다. 그러나 우리 센터의 물동량, 상품 특성, 인력 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투자 포인트를 찾아야만 초기 투자 비용을 상쇄하고 지속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현명한' 투자가 될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 설계로 물류 센터 최적화하기

물류 센터 최적화를 위한 5단계

🏭

  1. 데이터 분석 : 우리 회사의 주문 패턴, 상품 특성, 고객 요구 등 데이터를 분석

  2. What to do : “대량 물량을 빠르게 처리해야 한다”

  3. How to do : 목표에 맞는 방식을 선택

  4. 레이아웃 설계

  5. 설계된 프로세스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도구 및 기술(Tool)를 도입 : DAS/DPS

What to do?

결국 핵심은 각 프로세스 단계에서 '기능을 명확히 정의'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기능 정의란, 단순히 어떤 설비를 도입할지 먼저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물류센터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What to do)'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하루에 몇 개 상품을 분류해야 하는가?", "어떤 종류의 상품을 피킹할 것인가?", "피킹 후 어떻게 다음 단계로 넘길 것인가?"와 같이, 각 작업 단계에서 필요한 목표와 역할, 그리고 세부적인 동작 방식을 정밀하게 정의하는 것을 말하죠.

다시 말해, 우리는 '어떤 기능을 수행할 것인가'를 먼저 정의한 후, 그 기능을 가장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로봇이나 다른 자동화 기술을 적용해야 합니다.

💡

💊

How to do?

1. 피킹 방식의 이해: 총량 피킹 vs 개별 피킹

무엇을 해야 할지 정했다면(What to do?) 다음으로는 어떻게 그것을 이루어야 하는지(How to do?)를 정해야 합니다. 총량 피킹(Batch Picking)은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하는 여러 주문의 상품을 한꺼번에 피킹하여 별도의 분류 작업장으로 가져가는 방식입니다. 이는 작업자의 동선을 최소화하고 한 번에 많은 상품을 처리할 수 있어 대량 물동량 처리 시 효율적입니다. 반면 개별 피킹(Piece Picking)은 주문 건별로 상품을 피킹하는 방식으로, 고객 맞춤형 소량 주문에 적합하며 즉각적인 출고가 가능합니다. 어떤 방식을 적용할지는 센터의 운영 목적과 상품 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2. 효율적인 레이아웃 설계

이처럼 물류 프로세스의 피킹 방식을 정했다면, 이제 그 흐름이 가장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류센터의 레이아웃 설계는 단순한 공간 배치를 넘어, 작업 동선 최소화, 공간 활용도 극대화, 설비 배치 효율성, 그리고 작업자 안전 확보 등 다면적인 목적을 가집니다. 효율적인 레이아웃은 곧 운영 비용 절감으로 이어집니다. 예를 들어, 남는 공간에 출고 설비를 적절히 배치하여 공간의 낭비 없이 물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레이아웃을 설계할 때는 CAD(Computer-Aided Design)와 스케치업(SketchUp) 같은 툴을 활용합니다. CAD는 설비의 정확한 크기와 위치, 그리고 작업 동선 등을 정밀한 2D 도면으로 작성하는 데 사용되며, 스케치업은 3D 모델링을 통해 실제 공간을 시각적으로 구현하여 설비 배치, 작업 동선, 그리고 공간 활용도를 미리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교한 설계 과정은 공간 효율성을 최적화하고 설비 도입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물류 자동화 설비 도입의 실제적인 측면과,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프로세스 설계의 중요성을 다루었습니다. 다음 게시글에서는 물류 시스템의 핵심인 WES, WMS, WCS를 비롯한 소프트웨어와 혁신적인 설비 활용 전략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대해주세요.


물류 프로세스 설계 후, 이 모든 것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이 궁금하다면?

Share article

Nearsolution